자유학기제란?
-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해 중학교에서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지식・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이와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를 강화하며, 다양한 자유학기 활동을 편성ㆍ운영하는 제도
-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운영하는 교육과정
(학생)“내가 꿈꾸는 행복한 미래를 위해 나를 공부하자”
(교사) “더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기 위해 나를 공부하자”
(학부모) “내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나를 공부하자”
자유학기제 기본방향
- 교실수업 변화
- 참여·활동 중심 수업 강화 및 다양한 수업
방법 마련 - 학생의 꿈과 끼를 키우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
운영
- 과정중심 평가
- 자기주도학습, 협력학습을 촉진하는 평가 실시
- 지필식 총괄평가는 실시하지 않으나,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형성평가, 수행평가 확대
- 진로탐색 강화
- 자유학기에 다양한 진로수업·체험 등을 통해 초등학교(진로인식) - 중학교(진로탐색) - 고등학교(진로 설계 및 준비)로 이어지는 진로 교육 강화
'자유학기활동' 4가지 영역
자유학기 활동
다양한 체험 중심 활동
- 주제선택
활동 - 교과연계, 범교과 영역
- 다양한 전문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습 동기 유발
예) 드라마와 사회, 3D 프린터, 웹툰, 금융·경영교육
헌법, 법질서교육, 인성교육, 스마트폰앱 개발 등
- 예술체육
활동 - 다양하고 내실있는 예술, 체육 교육
- 학생들의 소질과 잠재력 계발
예) 연극, 뮤지컬, 오케스트라, 작사작곡, 벽화그리기,
디자인, 축구, 농구, 스포츠리그 등
- 동아리
활동 - 학생들의 공통된 관심사 기반 조직, 운영
-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및 특기, 적성 계발
예) 문예 토론, 라인댄스, 과학실험, 천체관측, 사진,
동영상, 향토 예술 탐방 등
- 진로탐색
활동 - 학생이 적성과 소질을 탐색
-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
체계적인 진로교육 실시
예) 진로검사, 초청강연, 포트폴리오 제작 활동,
현장체험 활동, 직업 탐방, 모의 창업 등
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및 개별 학생 지원 활성화
- 다양한 수업방법 적용
- 적극적 수업 참여, 자기표현력 신장
- 협동 학습, 토론 수업 및 실험·실습 등 학생 중심 수업 강화
- 주제 중심의 교과 간 융합 수업
- 융합적인 사고, 내재적인 학습동기 몰입도 제고
- 개별학생 지원 활성화
- 모든 학생의 적극적 수업 참여지원
-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형성 계기 마련
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중심평가 내실화
- 1평가계획
- 총괄식 지필평가 미실시
-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 평가 계획
- 2평가실행
- 학습 진행상황을 확인, 학생지도에 활용
-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 평가를 수업중 실시
- 3평가 결과
기록 및 활용 - 모든 학생 대상 핵심 역량중심의 평가
- 결과를 학생생활기록부에 문장으로 기록
- 4학습과정에
대한 피드백 - 학생의 학습 상태 점검, 다음 학습 준비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형성의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